1. if
(1-1) if문은 어떤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특정 동작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조건연산자입니다.
const age = prompt("나이를 입력해주세요", "ex) 20");
if(age > 20){
console.log(`회원님은 ${age}살이므로 맥주를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.`);
}
위 이미지처럼 나이를 입력했을 때, 20보다 크다면 안내메세지가 나옵니다.
2. elseif
(2-1) 만약 조건이 여러개라면 elseif를 통해 조건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.
const age = prompt("나이를 입력해주세요", "ex) 20");
const gender = pormpt("성별을 입력해주세요", "ex) male or female");
if(age >= 20){ //part1
if(gender == "mail"){//part2
console.log("성인 남자화장실은 2F에 있습니다.");
}
elseif(gender == "femail"){ //part3
console.log("성인 여자화장실은 3F에 있습니다.");
}
}
elseif(age < 19){ //part4
if(gender == "mail"){//part5
console.log("청소년 남자 교복은 우측에 있습니다.");
}
elseif(gender =="femail"){//part6
console.log("청소년 여자 교복은 좌측에 있습니다.");
}
}
(2-2) 성인, 청소년, 남자, 여자로 구분한다고 했을 때 생각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총 4가지입니다.
-성인이면서 남자인 경우 = part2 실행
-성인이면서 여자인 경우 = part3 실행
-청소년이면서 남자인경우 = part4 실행
-청소년이면서 여자인경우= part5 실행
3.else
(3-1) 정해진 조건 이외에 값을 모두 처리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.
const quiz = prompt("QUIZ : 전주에서 가장 유명한 음식은? ");
if(quiz === "비빔밥"){
console.log("정답입니다. 증맬루 똑똑하십니다~");
}
else{
console.log("전주는 비빔밥이 제일 유명하답니다.");
}
비빔밥 이외의 답은 다 하단의 메세지가 출력되고
비빔밥이라고 정확히 적어야만 상단의 메세지가 출력됩니다.
4. switch
(4-1) 각각의 case가 너무 많을 때 if - else 대신 사용하기 간편합니다.
let score = prompt("국어성적을 입력하세요.", "ex) 72");
switch(score){
case(score >= 90):
console.log("A학점입니다.");
break;
case(score >= 80 && score < 90):
console.log("B학점입니다.");
break;
case(score >= 70 && score < 80):
console.log("C학점입니다.");
break;
default :
console.log("f학점입니다.");
break;
}
(4-2) switch문의 형식은 switch(비교대상){case(조건1): 수행문; break;
case(조건2): 수행문; break;
case(조건n): 수행문; break;
default: 예외처리문;} 입니다.
(4-3) case뒤에는 콜론(:)이 붙고, 수행문 뒤에는 세미콜론(;)이 붙는거에 주의해야 합니다.
'front-end > 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S] 7. 반복문 (for, while, do while) (0) | 2023.11.10 |
---|---|
[JS] 6. 논리연산자(&&, ||, !) (0) | 2023.11.10 |
[JS] 4. 비교 연산자 (< , <=, >, >= , ==, !=, ===) (0) | 2023.11.10 |
[JS] 3. 형변환과 기본 연산자(String(), Number(), Boolean()) (0) | 2023.11.10 |
[JS] 2. 대화상자(alert, prompt, confirm) (0) | 2023.11.10 |